Content pfp
Content
@
0 reply
0 recast
0 reaction

Pard pfp
Pard
@pard
님들 연말 잘 준비하고 계신가요? 제 1년동안의 여러 활동들과 크립토 시장에서 느낀점을 정리해서 남겨보려고 합니다 1 / N
5 replies
2 recasts
22 reactions

Pard pfp
Pard
@pard
0. 들어가며 1년동안 비트는 250% 상승을 했네요. 저한테 이번 1년은 기쁨님 쿱님 권유로 채널을 개설하면서 1월달부터 제대로 시작하고 우연찮게 예전부터 뵙고 싶었던 분들이랑 온라인상에서만 알던 분들을 다 보게 됐고, 제가 좋아하는 온체인 활동으로 전업을 시작한 해이기도 합니다. 사실 작년부터 뭐를 직업과 특기로 삼아야할까에 대한 고민으로 이전에 불장에서 번 금액으로 구주택을 매수해서 인테리어 기획/실행/분양까지 해보기도 했고, 부동산 경매도 기웃거려봤고 학교를 다니며 여러 아이디어를 만지작거렸는데요..
1 reply
0 recast
0 reaction

Pard pfp
Pard
@pard
0-1. 결국에는 21살부터 시작한 코인으로 다시 돌아왔네요. 나중 10년 뒤는 무슨일을 하게될지 궁금하기도 합니다만 지금까지는 결국 코인으로 돌아온 여러 과정이 필연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그 자리를 계속 지키는 분들은 정말 대단하신것 같다고 계속 느낍니다. 또 중반이후부터는 프로젝트도 팀단위로 같이 해보면서 좀더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기도 하고, 이전에는 알지 못했던 여러 얘기들도 듣고 있는 와중 연말을 정리하면서 느끼는게 몇개가 있습니다.
1 reply
0 recast
0 reaction

Pard pfp
Pard
@pard
1. 코인 99퍼는 사라지거나 교체된다. 하지만 크립토산업은 계속 엄청나게 확장할 것 같다. 사이클을 풍미하면서 올라갔다가 내려간 여러 코인들이 있습니다. 그외에도 알지도 못한 코인들이 사이클마다 무더기로 나오고 소리 소문 없이 사라집니다. 그런 와중에 2017년 말도안되는 개념의 코인 ICO 시장 —» 2020년 디파이 초기 —» 2024년 비트코인ETF, 수익성 있는 컨슈머 dapp의 등장으로 넘어오면서 크립토자체의 인프라 및 기관 참여도는 제가 초기부터 모두 겪어본 과거를 생각할수록 편의성과 시장규모가 엄청나게 커진 것 같습니다. 아직까지 현실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크립토 댑과 체인의 결합이 나오진 않았지만 페이먼트 시장부터 시작해서 곧이라고 생각합니다.
2 replies
0 recast
1 reaction

Pard pfp
Pard
@pard
2. 팀단위로 크립토 산업의 파이를 차지할 마지막 기회일 수도 있다. 각 사이클마다 개인으로써의 큰 수익을 올리는 기회는 항상 존재하지만 팀단위로 사이클마다 혹은 일정기간동안 떨어지는 엄청난 프로토콜 수수료와 서비스피를 먹을 수 있는 기회는 앞으로 치열해질 것 같습니다. 현재도 크립토 산업에서 비어있는 부분은 현실세계 산업과 비교해 너무나도 광범위하고 넓은 것 같습니다. 한국에도 실력좋은 리서처 / 개발자분들이 많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각자의 역할에 충실히 산업을 구성하고 있지만 나름의 이유로 해외까지는 아직 영향력이 닿지 못하는 분들을 보면 앞으로 해외로까지의 산업의 파이를 넓혀갈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1 reply
0 recast
0 reaction

Pard pfp
Pard
@pard
3. 현재의 크립토는 최선, 최악이 아닌 차악이다. 각 나라별 상황에서 정도는 다르겠지만 글로벌, 24시 시장으로 시장이 넓혀진 크립토 산업은 전세계 모든 사람이 어쩔 수 없이 눈을 돌릴 수 밖에 없는 산업이 됐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번 대선에 해리슨이 당선되었더라도 크립토산업을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차악으로 받아들이고 현재 차기 트럼프 정부가 하는것처럼(이렇게 급진적이진 않을듯;) 자국의 이익을 위해 산업 큰그림에 투자하고 틀을 정하는 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1 reply
0 recast
0 reaction

Pard pfp
Pard
@pard
4. 룰을 정하는 것과 룰을 예측하여 따라가는것의 입장차이 한국은 크립토 선호도가 매우 높은 나라입니다. 솔라나, 비트 구매와 축적, 사용지표만 봐도 글로벌 top5안에 든다고 생각함. 그에 따라 한국시장의 잠재력은 매우 높다고 생각합니다만, 이를 뒷받힘하는 정부의 스탠스와 스텝은 뒤떨어져 있습니다. 이로 인해 생태계에 여러 부정적인 사이클이 돌 수 있다고 생각하고 마케팅 대상국으로 전락하는 가끔의 상황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1 reply
0 recast
0 reaction

Pard pfp
Pard
@pard
4-1. 이로 인해 한국 시장은 미국과 빌딩생태계를 예측하여 따라가는 것을 대체로 "잘한다"의 지표로 삼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빅펌VC 들과 MM, 기관은 그림을 그리며 룰을 정하는 편입니다. 당연 투자를 하는것과 빌딩을 하는 것은 큰 차이가 있지만 뉴마켓인 크립토에서 후자만을 선택하는것은 기회비용에 있어서 국가적 큰 손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1 reply
0 recast
0 reaction

Pard pfp
Pard
@pard
5. 크립토로 지구를 복사하는 중 테더는 결국 전세계 1등 순수익을 내는 금융기관이 되었습니다. 테더는 이번 년도 이미 순이익인 100억달러를 달성하며 (https://www.crypto-news-flash.com/tether-eyes-10b-net-profit-and-game-changing-investments/)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보다 높은 수익을 올리는 회사가 되었습니다. 전해듣기로는 코어인력은 20-30명이내, 직원수는 100명 이하입니다. 또한 테더사의 미국 국채 보유량(1000억 달러이상)은 독일(880억달러)과 멕시코(958억달러)를 넘어 한국(1167억) 수준의 국가급의 보유량을 늘렸습니다. (https://tether.to/en/transparency/?tab=reports 이러한 국채보유 상승추세는 최근 일본과 중국 국가와 비교해도 높은 급입니다.
1 reply
0 recast
0 reaction

Pard pfp
Pard
@pard
5-1. 미국 재무부는 이제 테더를 받아들일 수 밖에 없습니다. 전세계의 패권국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교육과 기술 혁신등이 먼저 등장하고 마지막에 패권국이 공통으로 차지하려 하는 목적인 Current currency(기축통화)를 테더사는 전쟁없이 얻어냈고 크립토 시장에 똑같은 지구를 하나 더 만들어버리고 있습니다.
1 reply
0 recast
0 reaction

Pard pfp
Pard
@pard
6. 규제상황과 맞물린 한국 시장의 에듀는 부족할수 있음 (나를 포함임) 크립토 관심이 이렇게 높은 국가에서 이번 밈코인 사이클장에서 수수료 피를 먹을 수 있는 온체인 프로토콜이 메이저시장에 하나도 출시되지 않았다는 것은 아깝다고 생각합니다. 그에 대한 크립토 산업의 규제가 심하다는 것의 반증이기도 하면서, 실제로 돈이되는 프로토콜의 상대적 낮은 관심, 과거의 매우 안좋은 선례들의 업보라고도 생각합니다.
1 reply
0 recast
0 reaction